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조성시대에 엽전말고 다른 화폐도 썼나요??? 엽전 상평통보 이런거말고 다른 것도썻나요??

조성시대에 엽전말고 다른 화폐도 썼나요??? 엽전 상평통보 이런거말고 다른 것도썻나요??
엽전 상평통보 이런거말고 다른 것도썻나요??

조선 시대에 사용된 화폐의 형태와 그 출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상평통보(常平通寶): 조선 후기 대표적인 동전으로, 동(구리)으로 주조되었습니다.​

  • 형태: 원형의 동전으로 중앙에 사각형의 구멍이 뚫려 있어 끈으로 엮어 다니기 편리했습니다.​

  • 무게: 개당 약 6g에서 10g 정도로, 시기와 주조처에 따라 차이가 있었습니다.​

  • 출처: 한국은행 화폐박물관의 '한국의 화폐' 자료에 따르면, 상평통보는 1678년(숙종 4년)에 처음 주조되어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1. 은자(銀字): 은으로 만든 고액 화폐로, 주로 대외 무역이나 대규모 거래에 사용되었습니다.​

  • 형태: 은괴(銀塊)나 은편(銀片) 형태로, 일정한 무게와 순도를 보장하기 위해 관청에서 검인(檢印)을 찍어 유통했습니다.​

  • 무게: 일반적으로 한 냥(兩)은 약 37.5g으로, 거래 시 무게를 달아 가치를 평가했습니다.​

  • 출처: 국립중앙박물관의 '조선시대의 경제와 화폐' 전시 자료에 따르면, 은자는 주로 대외 무역에서 사용되었으며, 내수용으로는 제한적으로 유통되었습니다.​

  1. 저화(楮貨): 조선 시대의 지폐로, 지류 화폐의 일종입니다.​

  • 형태: 한지에 인쇄된 지폐로, 액면가와 발행 관청의 도장이 찍혀 있었습니다.​

  •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따르면, 저화는 1401년(태종 1년)에 발행되었으나, 위조와 신뢰도 문제로 인해 널리 사용되지는 못했습니다.​

이러한 화폐들은 조선 시대의 경제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각기 다른 용도와 가치를 지니고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