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원자력 공학과 선택과목 어떻게 해야할까요 1. 2학년 선택과목현재 고1입니다.2학년 선택과목에서 물화생지 중 3개 선택할 수

1. 2학년 선택과목현재 고1입니다.2학년 선택과목에서 물화생지 중 3개 선택할 수 있습니다.학생 수는 생물이 압도적으로 많아요. 하지만 제 흥미에 조금이라도 더 맞는 건 지구과학입니다. 물화는 무조건 들을 예정인데 생물이랑 지구과학 중에 뭘 선택해야할 지 모르겠습니다. (현재는 물화생 신청해놓은 상태입니다.) 과학이다보니 2학년 때 선택하지 않은 과목은 계속 못듣도록 되어있는데 어떻게 정해야 할까요?생기부 관련해서도 뭐가 더 나은지 궁금합니다.2. 3학년 선택과목3학년때 선택과목은 전자기와 양자, 물질과 에너지, 세포와 물질대사, 행성우주과학, 물리학실험, 화학실험, 생명과학 실험, 지구과학 실험이 있습니다.현재 저는 전자기와 양자, 물질과 에너지를 선택해놨고 세포와 물질대사가 너무 하기 싫어서 물리학 실험을 신청해놓은 상태입니다. 지구과학을 듣더라도 3학년 선택과목은 그대로일 것 같아요. 이런 식으로 해도 괜찮은지 궁금합니다.

[2학년 선택과목: 생명과학 vs 지구과학]

기준

생명과학

지구과학

학생 수

많음 (내신 경쟁 치열)

적음 (내신 유리할 수도)

흥미

낮음

높음

진로 연계성

의학·생명계열에 유리

환경·지리·천문·지질 관련 진로에 유리

생기부 활용

전공적합성 강조 가능

희소성과 차별성 강조 가능

3학년 연계

생명과학 실험, 세포와 물질대사

지구과학 실험, 행성우주과학

  • 흥미가 더 중요하다면 지구과학을 선택하세요. 생기부에 “다수 학생이 선택하지 않는 과목을 선택해 꾸준히 탐구했다”는 식으로 차별화된 서술이 가능합니다.

  • 생명과학은 경쟁이 치열하고 암기량이 많아 부담이 될 수 있어요. 특히 흥미가 낮다면 내신에서 불리할 수 있습니다.

  • 지구과학은 상대적으로 내신에서 유리할 수 있고, 3학년 때 실험과목으로 연계도 가능합니다.

결론: 물화는 유지하고, 생명 대신 지구과학으로 바꾸는 것이 더 맞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3학년 선택과목]

  • 전자기와 양자, 물질과 에너지, 물리학 실험

→ 이 조합은 물리·공학 계열 진로에 매우 적합한 선택이에요.

지구과학을 2학년 때 듣고도 3학년 선택과목을 그대로 유지해도 괜찮은가?

  • 괜찮습니다. 3학년 때 지구과학 실험이나 행성우주과학을 듣지 않아도, 2학년 때 지구과학을 들었다는 사실만으로도 생기부에 흥미와 탐구의 흔적을 남길 수 있어요.

  • 오히려 물리 중심 선택은 전공적합성과 심화탐구 면에서 강점이 됩니다.

[생기부 팁]

  • 지구과학 선택 시: “지구 시스템에 대한 관심으로 지구과학을 선택하여 기후, 천문, 지질 등 다양한 분야를 탐구함” 같은 문구로 차별화 가능.

  • 물리 중심 선택 시: “전자기와 양자, 물질과 에너지 등 물리학 중심 과목을 선택하여 공학적 사고력과 실험 역량을 강화함”으로 전공적합성 강조.

진로가 공학·물리 쪽이라면 지금 선택이 아주 잘 되어 있어요. 다만 생명과학이 흥미도 없고 경쟁도 치열하다면, 지구과학으로 바꾸는 게 더 현명한 선택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