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22:50

한인 애국단 의열단 일제는 어느단체를 두려워 했나요 일본강점기 가장많이 저항한 두단체 한인애국단 의열단이죠 어느단체를 두려워 했나요

일본강점기 가장많이 저항한 두단체 한인애국단 의열단이죠 어느단체를 두려워 했나요

일제는 의열단한인애국단 모두를 매우 두려워하고 경계했습니다. 두 단체 모두 일제 식민 통치에 직접적인 타격을 가하는 의열(義烈) 투쟁, 즉 요인 암살 및 주요 시설 파괴 활동을 벌였기 때문입니다.

각 단체의 활동과 특징은 다음과 같으며, 일제에 끼친 영향력은 시기별로 달랐습니다.

1. 의열단 (義烈團)

  • * 활동 시기 및 특징: 1919년 만주에서 김원봉 단장을 중심으로 결성되어 1920년대 의열 투쟁을 대표했습니다.

  • * 주요 활동: 조선총독부, 동양척식주식회사 등 일제 식민 지배의 상징적인 기관들을 공격하고, 일제 고위 관료들을 암살 대상으로 삼았습니다. 박재혁 의사의 부산경찰서 폭탄 투척 의거, 김익상 의사의 조선총독부 폭탄 투척 의거, 나석주 의사의 동척 및 조선식산은행 폭탄 투척 의거 등이 대표적입니다.

  • * 일제의 반응: 의열단은 조직적이고 지속적인 활동으로 일제에 큰 위협을 가했으며, 일제는 이들의 활동을 심각한 '테러' 행위로 규정하고 대대적인 탄압 작전을 펼쳤습니다.

2. 한인애국단 (韓人愛國團)

  • * 활동 시기 및 특징: 1931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침체된 분위기를 타개하고 활로를 모색하기 위해 김구 주석이 조직한 특무 활동 기관입니다.

  • * 주요 활동: 이봉창 의사의 일본 국왕(히로히토) 암살 시도(1932년 도쿄)와 윤봉길 의사의 상하이 훙커우 공원 폭탄 투척 의거(1932년 상하이)가 핵심 활동입니다.

  • * 일제의 반응: 특히 윤봉길 의거는 상하이 주둔 일본군 대장 등 고위 요인들을 다수 살상하여 전 세계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고, 중국 국민당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이끌어내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일제는 큰 충격을 받았으며, 김구 개인과 한인애국단을 집중적으로 추적하고 탄압했습니다.

결론

두 단체 모두 일제의 간담을 서늘하게 했지만, 특히 한인애국단의 이봉창, 윤봉길 의거는 일본의 심장부와 중국 내 일본군 수뇌부에 직접적인 타격을 가하고 국제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켜, 일제가 느끼는 위협은 매우 컸습니다. 의열단이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다양한 표적에 대한 공격을 시도했다면, 한인애국단은 단기간에 상징적이고 파괴력 있는 거사를 성공시켜 더 직접적이고 강력한 충격을 주었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상단 광고의 [X] 버튼을 누르면 내용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