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15:58

상생페이백으로 해외 항공권 결제 실적이 인정되는 조건은 무엇인가요? 해외 항공권을 상생페이백으로 결제할 때 어떤 경우에 실적으로 인정되고, 어떤

해외 항공권을 상생페이백으로 결제할 때 어떤 경우에 실적으로 인정되고, 어떤 경우는 불인정되는지 명확한 기준이 궁금합니다. 특히, 결제 경로에 따른 실적 인정 여부가 복잡해 보이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합니다.

핵심만 먼저 정리하면,

원칙상 해외 카드 결제(해외 항공권 포함)는 상생페이백 실적에서 제외가 맞습니다.

그런데 **“국외 항공권이어도 국내 여행사·플랫폼을 통해서 결제한 경우”**에는

카드사 시스템상 국내 여행·서비스업 가맹점으로 잡혀서 실적으로 인정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반대로 항공사 앱·공식 홈페이지에서 직접 결제한 건은

해외 이용 또는 항공운송업 가맹점으로 분류돼 실적이 안 잡히는 사례가 많습니다.

이걸 “결제 경로” 기준으로 조금 더 풀어볼게요.

1. 제도상 기본 원칙

상생페이백 소비 실적에 포함되는 건

**“국내 중소·소상공인 가맹점에서의 카드 결제”**입니다.

그래서 카드사·정부 안내에는 이렇게 적혀 있어요.

국내 중소·소상공인 매장 결제만 포함

“해외 카드 결제 이용금액은 전부 제외”

온라인몰, 대형 플랫폼, 면세점 등도 원칙적으로 제외

즉, 명세서에서 ‘해외이용’으로 찍히는 결제는

항공권이든 숙소든 전부 원칙적으로 상생페이백 실적에 안 들어가는 구조입니다.

2. 그런데 왜 어떤 해외 항공권은 실적으로 잡일까?

실제 사례를 보면,

A씨: 국내 여행사 플랫폼(여행사/OTA 앱)을 통해

국외 항공권 100만 원 결제 → 상생페이백 실적에 포함

B씨: 대한항공 앱에서 국외 항공권 200만 원 직접 결제 → 실적 불인정

이 차이는 “무엇을 샀느냐”가 아니라 “어디서 결제했느냐(가맹점 코드)” 때문에 생깁니다.

카드사는 실제로 항공권인지, 패키지 여행인지, 기차표인지 “상품 내용”을 모릅니다.

대신 **가맹점 업종 코드(MCC)**만 보고 “국내 소상공인 쪽인지, 해외/대형플랫폼인지”를 판단합니다.

그래서:

국내 여행사/플랫폼을 통해 결제한 국외 항공권

→ 카드사 눈에는 “국내 여행사(서비스업) 가맹점”으로 보임

→ 국내 이용 + 중소·소상공인 또는 일반 가맹점으로 분류 → 실적에 들어가는 경우가 있음

항공사 앱·홈페이지(대한항공·외항사 등)에서 직접 결제한 국외 항공권

→ 해외 결제나 “항공운송업/해외 항공사” 업종으로 분류

→ 아예 ‘해외이용’으로 분류되면 상생페이백 실적에서 자동 제외

정부도 이 부분을 인정하면서,

“플랫폼을 통하면 여행상품인지 항공권인지 구별이 어려워 실적으로 인정된 면이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3. 결제 경로별로 정리해 보면

말씀하신 “복잡한 결제 경로”를 현실적인 기준으로 나눠 보면 이렇게 보시면 됩니다.

국내 여행사 오프라인 지점에서 카드 결제

예: 하나투어/모두투어/동네 여행사 사무실 방문해서 직접 결제

카드 승인/명세서에 “해외이용” 표기 X, 국내 가맹점으로 찍힘

업종도 대개 여행사(서비스업) →

상생페이백 실적에 포함될 가능성이 큼

국내 온라인 여행사(플랫폼·앱)에서 원화(KRW)로 결제

예: 국내 여행 플랫폼(앱/웹)을 통해 외항사·대한항공 항공권 결제

카드사 입장에서는 국내 플랫폼 가맹점 + 국내 결제로 보이는 경우가 많음

이 경우 실제 상품이 “해외 항공권”이어도

시스템상 국내 여행/서비스 이용으로 잡혀 실적 인정 사례 다수

다만, 플랫폼이 “온라인몰/대형 플랫폼”으로 분류되면 또 제외될 수 있어서

100% 보장 공식 룰은 아니고, 가맹점 분류에 따라 달라지는 회색지대입니다.

항공사 공식 홈페이지·앱에서 직접 결제 (대한항공·아시아나·외항사 등)

특히 외화 결제, 해외 결제 수수료 붙는 경우

카드명세서에 ‘해외이용’ 표시가 뜨면

→ 상생페이백 규정상 해외 이용 전체 제외라서 실적에서 빠짐

실제로 대한항공 앱으로 결제한 국외 항공권이

실적 미인정 사례로 기사에 소개되기도 했습니다.

해외 OTA(익스피디아, 부킹닷컴 등)에서 결제

결제창/명세서에 해외 가맹점, 해외이용 수수료 등이 나오면

→ 전형적인 해외 결제

→ 상생페이백 실적에서 제외되는 게 원칙입니다.

4. 실적 인정 여부, 내가 직접 확인하는 방법

애매할 때는 제도 설명만 보는 것보다

본인 결제 내역을 직접 확인하는 게 가장 확실합니다.

카드 명세서에서 확인

“해외이용”, “해외서비스수수료”가 찍혀 있으면 → 상생페이백 실적 제외라고 보시면 됩니다.

가맹점이 국내 여행사/국내 플랫폼 이름 + 일반 국내 승인이면 → 실적 포함 가능성이 큼.

상생페이백 누리집에서 실적 조회

신청 후 2일 정도 지나면

상생페이백 홈페이지에서 어떤 가맹점이 실적으로 잡혔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실적을 노리고 항공권 결제”할 때 현실적인 팁

완전히 깔끔한 공식 기준은 “해외 결제는 제외”인데,

실제 운영은 가맹점 코드 때문에 회색지대가 생긴 상태입니다.

지금 구조에서 실적으로 잡힐 가능성을 조금이라도 높이고 싶다면:

가능한 한

국내 여행사(오프라인 or 국내 기반 플랫폼)를 통해, 원화로 결제하는 쪽이 유리

결제 후 문자·영수증에서

“해외이용/해외서비스수수료”가 안 붙고 국내 일반 가맹점처럼 찍히는지 확인

그래도 언제든 기준이 보완·변경될 수 있고, 정부가 공식적으로 ‘항공권은 OK’라고 보장한 건 아니라는 점은 감안해야 합니다.

요약하자면, 상생페이백 제도상 원칙은 해외 카드 결제(국외 항공권 포함)는 실적 제외지만, 시스템이 **“가맹점이 국내 여행사/플랫폼으로 잡힌 경우”**에는 국외 항공권도 국내 소비로 분류되어 실적으로 인정되는 사례가 생기고 있고, 반대로 항공사 앱·홈페이지에서 직접 결제해 해외이용으로 찍힌 항공권은 실적에서 제외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상단 광고의 [X] 버튼을 누르면 내용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