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박물관의 준학예사를 말하는 거죠?
그렇다면.....
일본에 준학예사...라는 명칭은 없고요
学芸員補(학예원보. 즉, 학예원 보조)라는 명칭이 있습니다
준학예사는 학예원보를 말하는것 같네요
학예원보의 경우 자격증은 필요없기 때문에 시험도 없습니다
학예원의 경우 자격 인증 시험이 있습니다
(시험 인증과 심사 인증 2가지 제도가 있음)
학예원 자격 인증 시험에 응시하기 위해선 조건이 있습니다(박물관 학예원의 경우)
# 시험 인증 응시 자격
1. 대학원에 입학할수 있는 자
2. 대학에 2학년 이상 재학하면서 62단위(학점)를 취득한 자로, 2년 이상 박물관에 있어 발물관 자료 수집, 보관, 전시및 조사 연구 그외 이와 관련된 사업에 관한 실무(이하 "박물관 자료 관계 실무") 를
행한 경험이 있는 자
3. 대학에 입학할수 있는 자로 4년 이상 박물관 자료 관계 실무를 행한 경험이 있는 자
4. 교육 직원 면허법 제2조 제1항에 규정하는 교육 직원 보통 면허장을 보유하고 있는 자로, 2년이상
교육 직원 직업에 종사한 자
5. 그외 문부 과학 대신이 위에 언급한 자와 동등 이상의 자격이 있다고 인정한 자
위에 언급한 1개에 해당되어야 학예원 시험에 응시할수 있습니다
응시 과목 : 8과목 모두 합격해야 함(합격하면 필기 시험 합격 증서 발급 받음)
필기 시험에 합격하고 박물관에서 1년 이상 실무 경험을 쌓으면 이때에 "학예원 합격 증서'가 교부됩니다
2024년도 시험 문제는 아래 링크를 누르면 PDF 파일로 표시됩니다
본인이 참조해 보고 얼마나 어려운지 확인해 보세요 (아래의 8과목이 시험 과목임)
生涯学習概論(255KB)
博物館概論(271KB)
博物館経営論(248KB)
博物館資料論(234KB)
博物館資料保存論(248KB)
博物館教育論(306KB)
博物館情報・メディア論(241KB)
博物館展示論(249KB)
# 심사 인증 응시 자격
자세하겐 넘 길어서 생략하고 박물관등에서 2년 ~8년 이상 박물관 자료 관계 실무에 종사한 자가
신청해 합격하면 학예원 자격증을 받을수 있습니다(시험 인증과 동일한 자격증)
특별한 시험같은건 없습니다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