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대학원 취업률 이학부 대학생인데요. 고등학교 때부터 이학부는 대학원을 가서 석사까지는 따는 게

이학부 대학생인데요. 고등학교 때부터 이학부는 대학원을 가서 석사까지는 따는 게 좋다고 들었거든요?.. 근데 오늘 그걸 아버지께 말씀드렸더니, 대학원 가지 말고 바로 취업하는 게 더 취업률이 좋다고 하셨습니다... 석박사가 있지만 나이가 많은 사람 VS 석박사 없지만 나이가 적은 사람 둘 중 하나를 고르라면 회사는 당연히 후자라면서... 대학원을 안 가는 게 취업이 더 잘 되나요...??

이학부 대학원 진학 후 취업에 대한 고민이 많으시겠네요. 아버지 말씀도 일리가 있지만,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우선 이학부 졸업 후 바로 취업하는 것과 대학원 진학 후 취업하는 것, 각각의 장단점을 명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바로 취업하는 경우:

장점: 빠른 사회 경험, 경력 축적, 상대적으로 낮은 나이로 인한 유연성 어필 가능

단점: 전문성 부족으로 인한 직무 제한, 연봉 상승의 한계, 경쟁력 약화 가능성

대학원 진학 후 취업하는 경우:

장점: 깊이 있는 전문 지식 습득, 연구 개발 분야 취업 가능성 증대, 높은 연봉 기대, 특정 분야에 대한 경쟁력 확보

단점: 시간 및 비용 투자 필요, 취업 시 나이 제한 존재, 연구 분야 외 취업 시 불리할 수 있음

중요: 취업률 자체만 놓고 보면, 모든 경우에 대학원 진학이 불리하다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오히려 특정 분야에서는 석사 이상의 학위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연구 개발, 기술 분야에서는 석사 학위가 사실상 필수인 경우가 많습니다.

아버지께서 말씀하신 "나이"는 분명히 고려해야 할 요소입니다. 하지만, 기업은 단순히 나이만으로 지원자를 평가하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실력과 경험입니다. 대학원 과정에서 얻은 전문 지식, 연구 경험, 문제 해결 능력 등은 나이를 커버할 만큼 충분한 가치를 지닐 수 있습니다.

중요: 본인의 적성과 희망 진로를 고려하여 대학원 진학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관심 분야가 명확하고,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전문성을 키우고 싶다면 대학원 진학을 고려해볼 만합니다. 반면, 빠른 사회 경험을 통해 실무 능력을 쌓고 싶다면 바로 취업하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제 프로필로 방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