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은 가격이 안정되도록 설계된 암호화폐로, 일반적으로 달러(USD), 유로(EUR), 금 등 실제 자산에 가치를 고정(페깅, pegging)해놓은 형태입니다. 암호화폐 시장의 높은 변동성을 줄이고, 디지털 결제와 자산 보관에 안전한 수단으로 활용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스테이블코인의 핵심 특징
특징 | 설명 |
가격 안정성 | 1 USD ≈ 1 스테이블코인을 유지하도록 설계 |
빠른 결제 | 은행 없이도 국제 송금 가능 |
투자 헤지 | 시장 변동 시 안전 자산 역할 |
DeFi 연동성 | 렌딩·스테이킹 등 디파이 서비스에서 기본 자산 역할 |
1. 법정화폐 담보형 (Fiat-Collateralized)
실제 현금(USD 등) 또는 현금성 자산을 은행에 예치하고, 그에 비례해 발행
대표 사례:USDT (Tether)
USDC (Circle/Coinbase)
BUSD (Binance) (현재 발행 중단)
2. 암호화폐 담보형 (Crypto-Collateralized)
ETH, BTC 등의 암호화폐를 과잉 담보로 잡고 발행
담보가 급락하면 자동 청산
대표 사례:DAI (MakerDAO)
3. 알고리즘 기반 (Algorithmic)
자산 없이 알고리즘으로 발행량을 조절해 가격 유지
실패 사례 다수 (예: TerraUSD/UST 붕괴)
대표 사례:FRAX (부분 알고리즘 기반)
파이네트워크는 스마트폰으로 채굴가능한 코인입니다.
2월20일에 비트겟,OKX,MEXC등에 상장됐으며 현재도 채굴이 가능합니다.
코인마켓캡에 현재 시총순위 11위에 등재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