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호 변호사 입니다.
질문자님께서는 군 내에서 발생한 범죄와 관련하여 조사 과정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군 특유의 절차와 법률 적용이 관여되는 만큼 꼼꼼한 법적 대응이 필요한 상황임을 안내드립니다.
✔️ 1. 군 내 범죄 조사, 어떤 절차로 진행될까?
① 군 내에서 범죄가 발생하면, 관련 부대 지휘관 또는 헌병대가 즉시 인지하여 내부 조사 또는 헌병대의 공식적인 수사를 실시합니다.
② 범죄의 유형에 따라 군사경찰(헌병) 수사, 감사실 조사, 군사검찰 수사 등 다양한 경로로 실체 파악이 이루어집니다.
③ 관련인이 피의자로 특정되면 진술서·확인서 제출을 요구받으며, 동시에 증거자료(메신저, 통화내역 등) 확보가 이뤄집니다.
④ 조사과정에서 현행범 체포, 임의 동행, 압수수색 영장 집행, 휴대폰·PC 포렌식 등 행정행위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 2. 군 내 조사 시, 본인이 실질적으로 대비해야 할 부분
① 군인사법, 군사법원법 등 관련 법률 규정의 숙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조사 단계마다 적용되는 규칙이 상이하므로 본인 권리 및 의무를 명확히 인지해야 합니다.
② 변호인 선임권, 진술거부권을 반드시 행사할 수 있음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실제로 군사재판법 제17조는 군 내 사건이라도 변호인의 참여를 보장하고 있습니다.
③ 증거 수집 및 제공 단계에서 허위진술 및 자의적 해석이 없도록, 발생 상황을 정확히 기록한 진술서 및 참고 자료 확보를 우선시해야 합니다.
④ 압수·수색 또는 임의동행 시에도 위법성 여부를 반드시 점검해야 하며, 위법한 절차를 따르지 않을 권리가 법률상 보장됩니다.
✔️ 3. 군 내 조사과정, 필요한 서류 및 증거 목록은?
① 본인이 사건 당사자인 경우, 군인 신분증, 사건 경위서, 개인 진술서, 알리바이 관련 자료(부대 내 CCTV, 동료 증언 등), 전자통신 내역(문자, 카톡 등)을 준비해야 합니다.
② 진행된 조사기록, 참고인 조사서, 헌병·군사경찰의 보고서 등 공식 수사자료 또한 중요한 증거가 됩니다.
✔️ 4. 조사과정에서 권리 보장·법적 구제 방법
① 불합리한 조사가 이뤄진 경우, 군사법원에 준항고 신청이나 수사절차 중단 가처분 등 적극적인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② 변호인 접견권 제한, 장시간 조사, 협박성 진술 유도 등 인권침해 요소가 확인될 경우, 국방부 고충심사, 국민권익위원회 신고 등 외부 구제절차도 활용 가능합니다.
주요 단계 | 주요 서류 | 중요 권리 |
범죄 인지 | 군인 신분증 | 변호인 선임권 |
내부 조사 | 경위서·진술서 | 진술거부권 |
헌병대 수사 | 참고인 조사서 | 부당조사 저항권 |
군사검찰 이첩 | 수사 기록 | 준항고·고충심사 |
기소 및 재판 | 증거자료 일체 | 법적대응 자유 |
사건 종결 | CCTV·알리바이 자료 | 인권보호 불복권 |
✔️ 5. 핵심 요약 정리
① 군 내에서 범죄가 발생하면, 내부조사–헌병수사–군사검찰–군사법원 재판 단계로 절차가 진행됩니다.
② 본인의 권리(진술거부권, 변호인 선임권 등)를 적극 행사하며, 정확한 증거와 진술서 확보가 매우 중요합니다.
③ 인권침해와 부당한 조사에 대해서는 법률상 불복 및 구제절차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신속하면서도 정확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마무리하며... 군 내 사건은 일반민사·형사와 달리, 매우 엄격한 절차와 계통 속에서 신속히 흘러갑니다. 불안하고 낯설겠지만, 법이 보장하는 본인 권리를 믿고, 위축되지 않는 태도로 대응하실 수 있기를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법무법인 강현 대표 김선호 변호사
전화상담 1644-89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