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읽으면서 얼마나 답답하고 걱정이 크실지 느껴집니다. 특히 뇌성소아마비 중증 장애로 혼자 앉지도 못하시고, 치과 진료가 시급한 상황이라면 이동이 가장 큰 걸림돌일 거예요. 다행히 서울에는 중증 장애인을 위한 이동지원 서비스가 제도적으로 마련돼 있습니다. 무료 혹은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복지센터와 제도를 정리해드릴게요.
1. 서울시 장애인콜택시 (서울시설공단 운영)
대상 : 보행상 장애가 심해 휠체어를 이용하는 등록 장애인
운영방식 : 전동·수동 휠체어가 탑승 가능한 특수 차량 지원
비용 : 시내는 버스요금 수준, 시외는 거리별 요금(저렴)
예약 : 02-1588-4388 또는 ‘서울시 장애인콜택시’ 앱
다만 "휠체어 탑승"이 기본이라 앉지 못하는 경우에는 차량 내 고정이 가능한지 상담 필요
2. 서울시 복지관 연계 이동지원 서비스
서울시 각 종합복지관·장애인복지관에서는 자체적으로 중증장애인 이동지원 봉사·차량 지원을 합니다.
지역별 복지관에 문의 → 의료기관 이동 목적이면 우선 지원하는 경우가 많음
차량 봉사자+보호자가 함께 동행 가능
3. 이동지원 전문 서비스 (활동지원 연계)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를 신청한 경우, 활동지원사가 진료 동행 및 이동 보조를 도와줍니다.
이동수단 자체는 장애인콜택시, 복지관 차량을 병행
4. 무료·저비용으로 가능한 곳
서울특별시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 (☎ 1588-4388)
서울시립뇌성마비복지관 : 뇌성마비 장애인 맞춤 지원, 의료기관 연계 상담 가능
각 자치구 장애인복지관 : 차량이 배정돼 있는 경우 있음 (예: 강남구립 장애인복지관, 노원구립 장애인복지관 등)
5. 추천 행동 순서
거주지 구청 장애인복지과에 바로 연락해 "중증 뇌성마비 환자 치과 진료 이동지원" 요청
1588-4388 서울시 장애인콜택시에 전화 → 현재 상태 설명, 휠체어 고정 불가 시 대체 방법 안내 받기
가까운 장애인복지관(자치구) 문의 → 의료기관 동행 차량 있는지 확인
정리하면, 서울에서는 서울시 장애인콜택시(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가 가장 대표적인 제도이고, 추가적으로 구립 장애인복지관, 뇌성마비복지관을 통해 무료나 저비용 이동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진료 목적이라면 우선 배차도 잘 되는 편이니 꼭 문의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