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고등학생 현실과 대학 현실,대학 안 간 후 고졸로 취업의 현실 알려주세요 고등학생때는 1,2학년때 미친듯이 내신 학종 채우고,수능준비하고,성적 맞춰서 취업 잘 되는

고등학생때는 1,2학년때 미친듯이 내신 학종 채우고,수능준비하고,성적 맞춰서 취업 잘 되는 과 간다는데대학교는요?대학 안 가면 고졸로 뭘 해요?

고등학교와 대학교, 그리고 고졸 취업에 대한 현실을 말씀드리겠습니다.

고등학생 현실

고등학교 시기는 말씀하신 것처럼 1, 2학년 때부터 내신 관리와 학생부 종합전형(학종)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채우는 데 집중하게 됩니다. 3학년이 되면 수능 준비에 더욱 몰입하며, 자신의 성적에 맞는 대학과 학과를 선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대학교 현실

대학교에서는 고등학교와 다른 현실이 펼쳐집니다:

1. 학업적 측면

- 자율적인 학습 환경 (출석, 과제, 시험 등 모두 본인 책임)

- 전공 관련 심화 지식 습득

- 학점 관리가 중요 (장학금, 취업, 대학원 진학 등에 영향)

2. 취업 준비

- 2~3학년부터 인턴십, 공모전, 자격증 취득 등 스펙 쌓기

- 학과별 취업 준비 방향이 다름 (공기업, 대기업, 전문직 등)

- 전공 관련 실무 경험 쌓기

- 어학 능력, 자격증 등 추가 역량 개발

3. 사회적 측면

- 다양한 인간관계 형성 (선후배, 동아리, 학회 등)

- 사회 진출을 위한 네트워킹 기회

- 자기 주도적 생활 관리 필요

고졸 취업 현실

1. 취업 가능 분야

-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졸업 시: 관련 산업체 취업 (제조업, IT, 서비스업 등)

- 공무원: 9급 공무원, 군무원, 경찰 등 (학력 제한 없는 직종)

- 공기업/대기업: 고졸 채용 트랙 (기술직, 현장직 중심)

- 기능직: 기술 자격증 취득 후 관련 분야 취업

2. 경력 개발 경로

- 취업 후 대학 진학: 사내 대학, 야간 대학, 사이버 대학 등

- 직업 훈련: 폴리텍 대학 등 기술 교육 기관 활용

- 자격증 취득을 통한 전문성 강화

- 현장 경력 축적 후 승진

3. 현실적 고려사항

- 초기 임금은 대졸자보다 낮을 수 있으나, 경력 축적 시 격차 감소

- 승진이나 직무 확장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

- 전문 기술직의 경우 오히려 경쟁력 있는 분야도 있음 (용접, 기계, 전기 등)

- 지속적인 자기 계발이 중요

초등, 중학교 진학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의무교육으로, 진학 과정에서 특별한 선발 과정이 없습니다. 중학교의 경우 대부분 지역 배정을 통해 진학하게 되며, 일부 특성화 중학교나 특수목적 중학교의 경우 별도 전형을 통해 선발하기도 합니다.

각 교육 단계마다 다른 현실과 도전이 있으며, 어떤 경로를 선택하든 자신의 적성과 목표에 맞는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등학교, 대학교, 고졸 취업 모두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므로 본인의 상황과 희망하는 미래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