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고 싶은 게 딱 마음에 꽂힌 게 이번이 처음이라니, 그 자체로 굉장히 중요한 순간이에요. “경영경제”에서 “예술경영”으로 진로의 방향을 꺾는 건 흔한 길은 아니지만, 큐레이터라는 목표가 생겼다면 지금부터 전략적으로 준비하면 충분히 갈 수 있습니다.
1. 예술경영학과란?
예술경영학은 미술·공연 등 예술 분야와 경영학을 결합한 전공이에요.
미술관, 공연장, 갤러리, 문화재단 등에서 기획·운영·홍보·마케팅을 담당하는 전문가를 양성합니다.
큐레이터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기도 하지만, 큐레이터는 미술사학·미학 전공자도 많이 진출해요.
즉, 예술경영학과는 ‘예술 현장을 관리·기획하는 관리자·기획자’에 조금 더 가깝습니다.
2. 수도권 주요 대학 예술경영 관련 학과
(대학마다 정확한 명칭이 조금씩 달라요)
중앙대: 예술대학 예술경영학과
홍익대: 예술학과, 문화예술경영 관련 전공 트랙 운영
그 외에 한국예술종합학교, 한양대(예술·문화 관련 전공), 성균관대(예술경영 협동 과정) 등도 진로와 연관
3. 수시 내신컷
정확한 컷은 매년 변동이 있지만 최근 공개된 합격자 데이터를 기준으로 정리해드릴게요.
중앙대 예술경영학과
학생부 교과 전형: 평균 2등급대 중반
학생부 종합 전형: 2~3등급대 지원 가능 (전공적합성 강조)
홍익대 (문과 예체능 계열 종합 전형 기준)
학생부 종합 전형: 대체로 2~3등급대 합격권
교과 반영은 학과·캠퍼스에 따라 달라, 인문계보다는 완화되는 편
예술경영 특성상 내신 단순 성적보다는 활동 내용(동아리, 전시 기획, 박물관 탐방, 독서 활동, 프로젝트 경험)이 크게 작용합니다.
4. 실기 부담은?
미술대 실기와 달리, 예술경영학과는 실기시험이 거의 없습니다.
대신 학생부 종합 전형에서 “예술 분야에 관심과 경험을 어떻게 쌓았는가”가 매우 중요합니다.
그림을 잘 그린다는 건 큐레이터에게 장점이 될 수 있지만, 지원 시 필수 조건은 아니에요.
5. 지금 할 수 있는 준비
미술관, 전시회, 공연 관람 후 기록 남기기 (독서·탐방 보고서 형식)
학교 동아리 활동에서 전시나 행사 기획 경험 쌓기
예술 관련 도서 읽고 생기부 독서 활동에 기록 남기기 (예: 『미술관의 탄생』, 『예술경영의 이해』)
가능하다면 지역 문화센터, 미술관 프로그램 참가 → 자기소개서·면접에 어필
정리
중앙대 예술경영학과: 내신 2등급 중반 정도
홍익대 및 수도권 예술경영 관련 전공: 내신 2~3등급대에서 학생부 활동으로 합격 가능
실기 부담은 거의 없고, 전공적합성 활동이 승부처
더욱 자세한 내용은 아래 추가로 정리 해났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