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원을 돕는 전문 컨설팅 업체 '정책자금연구소 바름' 입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A : 이직을 준비하고 계시는군요. 현재 근무지의 순환근무 때문에 광주, 나주, 목포 권역에서 정착할 수 있는 공공기관, 공기업을 찾고 계시는군요.
순환근무가 없거나 적은 공공기관은 일반적으로 특정 지역에 기반을 두고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인 경우가 많습니다.
1. 나주 혁신도시
나주는 '빛가람 혁신도시'로 여러 공공기관이 이전해 있어 가장 많은 선택지가 있습니다. 이들 기관은 대부분 본사 근무를 기본으로 하며, 일부 부서나 사업소에 따라 순환근무가 있을 수 있지만, 서울 본사처럼 2~3년마다 전국을 도는 순환근무는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한국전력공사 (한전): 국내 최대 공기업으로, 본사가 나주에 있습니다. 순환근무가 있지만, 지역 내 사업소 위주로 순환하는 경우가 많아 타 지역으로의 발령 가능성은 낮습니다. 고졸 채용 규모가 큰 편입니다.
한전KDN, 한전KPS: 한전의 자회사로, 본사가 나주에 있습니다. 한전보다는 순환근무의 범위가 적을 수 있습니다.
한국농어촌공사,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업 분야 공공기관으로, 본사가 나주에 있습니다. 특정 업무에 따라 순환근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사학연금): 연금 관리 기관으로, 순환근무가 거의 없거나 매우 제한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2. 광주/목포 권역
전남대학교병원: 광주에 위치한 국립대학병원으로, 일반 기업회계와는 다른 병원 회계 및 행정 직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병원이라는 특성상 순환근무는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광주광역시도시공사, 광주도시관리공사: 광주광역시의 지방 공기업으로, 광주 지역 내에서만 순환 근무합니다.
목포시 관련 공공기관: 목포시청에서 운영하는 시설관리공단 등은 지역 기반 공공기관이므로 순환근무가 거의 없거나 제한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목포): 국가기관으로, 연구직이나 행정직 등 다양한 직무가 있습니다. 특정 지역에 위치한 기관이므로 순환근무의 범위가 넓지 않습니다.
3. 정착형 공공기관 특징
지방 공기업: 광주광역시도시공사, 전남개발공사 등 지자체가 설립한 공기업은 해당 지자체 내에서만 근무합니다.
병원, 학교 등 특수 공공기관: 국립대학병원, 국립학교 등은 특정 장소에 기반을 두기 때문에 순환근무가 거의 없습니다.
취업 팁
홈페이지 직접 확인: 관심 있는 기관의 채용 공고를 사람인, 잡코리아보다 공식 홈페이지에서 직접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일부 기관은 자체 홈페이지에만 공고를 올리기도 합니다.
고졸 채용 전형 확인: 대부분의 공공기관은 고졸 채용 전형을 별도로 운영하며, 지역인재 채용 목표제 등도 있어 유리한 측면이 많습니다.
직무 관련 경험: 현재 공공기관 근무 경력이 있으므로, 이를 잘 살려 이직하려는 기관의 직무에 대한 이해도를 어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원하시는 기관에 꼭 합격하시길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드리는 말씀"
2025년 정책자금예산은 30조이지만, 많은 대표님들이 몰라서 못받고 계십니다. 정책자금 컨설팅 및 진단이 필요하시다면 프로필 혹은 네이버에 정책자금연구소 바름이라고 검색해주세요. 최저 2% 최대 100억까지 가능한 정책자금, 대표님들에게 맞는 최적화 자금을 찾아 처음부터 끝까지 도와드리겠습니다.
* 채택으로 인해 발생하는 해피빈 콩은 모두 이웃을 위해 기부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