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임금체불로인한 소송 급여를8천만원을 지급하지못하고 있는데어떤처벌을받는지여?

급여를8천만원을 지급하지못하고 있는데어떤처벌을받는지여?

1. 임금체불 사업주가 받는 4가지 불이익

임금체불이 신고되면 사업주는 단순 벌금 부과를 넘어 다양한 법적·경제적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상습 체불 사업주로 지정될 경우 출국금지, 형사처벌, 금융 불이익 등 강력한 조치를 받게 됩니다.

1) 금융거래 및 대출 불이익

사업주가 1년 동안 3개월치 이상의 임금을 체불하거나, 5회 이상 임금을 지급하지 않고 총 체불 금액이 3천만 원 이상이 되면, 다음과 같은 경제적 불이익을 받습니다.

[불이익 내용]

  • 금융기관 대출 제한 또는 이자율 상승

  • 정부 지원사업 참여 제한

  • 공공기관 입찰 시 감점 적용

2) 출국 금지 조치

3년 이내에 임금체불로 2회 이상의 유죄가 확정된 자명단 공개 전 1년 이내 3천만 원 이상 체불한 사업주는 해외로 도피하지 못하도록 출국이 금지됩니다.

체불임금을 전액 지급해야 해제 가능하며, 3년간 명단 공개는 유지됩니다.

3) 임금체불 형사처벌 강화

과거에는 임금체불 사건이 발생해도 근로자와 합의하면 처벌을 피할 수 있었지만, 앞으로는 특정 기준을 충족하면 합의 여부와 상관없이 형사처벌을 받게 됩니다.

[적용 대상]

  • 사업주가 명백한 고의로 임금을 체불한 경우

  • 1년 동안 총 3개월 이상 임금을 체불한 경우

  • 체불 금액이 3개월치 통상임금 이상인 경우

임금 체불로 손해를 입은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최대 3배의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으며, 정신적·경제적 피해에 대한 배상도 요구할 수 있습니다.

4) 임금체불 지연이자 범위 확대

기존에는 퇴직자만 청구할 수 있었던 임금체불 지연이자(20%)를 재직자도 청구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인사담당자는 임금 체불이 발생하지 않도록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