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신차를 구입하면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보증 기간’과 ‘무상 점검/교환 서비스’**가 있기 때문에, 첫 몇 번의 엔진오일 교환은 대부분 공식 서비스센터(정식 센터) 에서 받습니다. 그러나 공임나라라던지 다른데서 하면 나중에 문제가 생겼을때에 보증이 거부 될수 있습니다...순정이 아니다라던지..
일반적인 흐름
신차 출고 → 초기 점검
요즘은 예전처럼 1,000 km 점검용 엔진오일 교환은 거의 없습니다.
(현대·기아, 토요타, 혼다 등 대부분 불필요하다고 안내)
대신 1,000 ~ 3,000 km쯤에 무료 점검(토크 점검, 누유 확인 등) 을 권장하기도 합니다.
첫 엔진오일 교환
보통 5,000 ~ 10,000 km 또는 6개월~1년 이내(차종·연료·운전 조건에 따라 다름)
이 시기의 교환은 보증 유지와 기록을 위해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하는 경우가 많음
이후 정기 교환
무상 쿠폰이 끝나면 센터 대신 가격이 저렴한 일반 카센터(공임+오일 직접 구입)로 가는 경우가 많음
그래도 보증 기간 동안(예: 3~5년/60,000 ~ 100,000 km)은 센터 기록을 남겨두면 유리
무상 서비스(쿠폰) 예시
현대·기아(한국): 보통 3년/6만 km 보증 + 무상점검 + 소모품 쿠폰(초기 몇 회)
도요타·혼다(미국): 2년 또는 25,000 mile 동안 엔진오일·필터·점검 무상
유럽 브랜드(BMW, 벤츠 등): 대부분 3년~4년/5만~6만 km까지 지정된 정비 포함
그래서 첫 몇 번의 오일 교환은 거의 다들 정식 센터를 이용합니다.
⚙️ 팁
새 차라면 보증·리콜·서비스 기록이 중요하니,
최소한 무상 서비스 기간 동안은 센터 이용을 추천합니다.
무상 서비스 종료 후에는 신뢰할 만한 일반 정비소를 이용해도 되지만,
보증 기간 내에는 비공식 정비소에서 작업하다가 문제 생기면 제조사 보증을 거부당할 수 있습니다.
결론:
신차 소유자는 초기에는 센터 이용 → 무상 혜택 끝나면 일반 정비소로 이동이 가장 흔한 패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