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제가 우연히 크게 다쳐서 응급실에 와서 치료를 했는데 접수하는 분이

제가 우연히 크게 다쳐서 응급실에 와서 치료를 했는데 접수하는 분이 저희 부모님 보고 기초생활수급자는 증명서가 있어야 외래가 된다?는 식으로 말씀하셨어요. 저는 처음 듣는 얘기였는데 부모님이 작게 말해달라고 하시더라고요. 아마 기초생활수급자인 걸 저에게 숨기신 것 같아요. 기초생활수급자가 정확히 어느정도 소득이 안 되고 어떤 건지 쉽게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검색해봤는데 말들이 너무 어려워서 와닿지 않아요… 많이 가난하거나 힘든 건가요? 저는 고3인 지금까지 풍족하게 살았고 학원도 배우고 싶은 거 다 배우면서 살았는데 저 때문에 가뜩이나 어려웠던 형편이 저만 모르는 사이에 더 안 좋아진 걸까요?

안녕하세요~ 기초생활수급자에 대해 처음 알게 되신 뒤 혼란스럽고 걱정도 되시는 질문자님.

글에서 보여지는 솔직함과 따뜻한 시선이 정말 인상 깊었습니다.

“혹시 나 때문에 부모님이 더 힘드신 건 아닐까” 하는 마음이 느껴져서

제가 아는 한 가장 쉬운 말로 설명드릴게요.

1. 기초생활수급자란?

정부가 ‘생활이 어렵다고 인정되는 가정’에 생계·의료·주거·교육 등 필요한 도움을 주는 제도예요.

쉽게 말해서,

  • 매달 생활비(생계급여)를 일정 금액 지원해주고,

  • 병원비(의료급여)도 거의 무료 또는 저렴하게 받을 수 있게 도와주는 제도입니다.

  • 필요한 경우 월세 지원, 자녀 학비, 통신비 감면도 받을 수 있어요.

“국가가 최소한의 삶을 보장해주는 제도”라고 보면 됩니다.

2.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정확한 수치는 매년 변동)

기초생활수급자가 되려면 보통 두 가지를 모두 만족해야 해요.

  1. 소득이 기준 이하일 것

  • 예: 2025년 기준, 4인 가족이면 월소득 208만 원 이하 정도여야 가능

  1. 재산이 일정 기준 이하일 것

  • 자동차, 집, 예금 등 총 자산이 일정 수준보다 낮아야 해요

  • (지역마다 다르지만 보통 재산이 1억 넘지 않아야 합니다)

※ 참고: 단순히 “매우 가난하다”기보다는, 국가가 정한 기준보다 어려우면 지원하는 시스템이에요.

3. 수급자는 ‘무조건 힘들게 사는 사람들’일까요?

꼭 그렇진 않아요.

질문자님처럼 학원도 다니고, 배우고 싶은 것도 하면서 사는 수급자 가정도 많습니다.

  • 부모님이 아프시거나, 직장을 오래 구하지 못했거나, 일은 해도 수입이 적은 경우

  • → 이런 사정들이 겹쳐서 수급자로 지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너무 힘들고 가난하다’는 이미지보다는, ‘사회의 도움을 잠시 받고 있는 중’이라고 이해하시면 더 정확해요.

4. 부모님이 왜 숨기셨을까요?

많은 부모님들이 자녀에게

  • “우리 집이 어렵다”

  • “국가 도움 받고 있다”는 걸 말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요.

그건 부끄러워서가 아니라,

자녀가 혹시나 미안해하거나 상처받을까 봐 일부러 안 알리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질문자님이 고등학교 3학년이 되도록 모를 수 있었던 것도,

그만큼 부모님이 많이 아끼고 지켜주셨다는 뜻일 수도 있어요.

5. 지금 질문자님이 해야 할 일은?

솔직히 아무것도 하지 않으셔도 괜찮아요.

질문자님은 정말 잘 자라고 있고, 잘 살아오셨고, 앞으로도 잘 될 사람이에요.

부모님이 수급자라는 사실이 삶의 질을 결정하지도 않고,

그걸 알게 됐다고 해서 질문자님의 ‘가치’는 아무것도 바뀌지 않아요.

지금처럼 공부하고, 하고 싶은 걸 해가며

스스로 자립해가는 것만으로도 부모님께는 큰 힘이 됩니다.

정리하면:

  • 기초생활수급자는 소득·재산이 기준 이하일 때 국가에서 돕는 복지제도입니다.

  • 어려운 사람들을 낙인찍기 위한 것이 아니라, 더 나아갈 수 있도록 돕는 안전망입니다.

  • 질문자님 잘못이나 부담은 전혀 없고, 부모님은 아마 그걸 말하지 않으려 애쓰신 것 같습니다.

  • 지금처럼 자신의 삶을 잘 꾸려나가는 것, 그것만으로 충분합니다.

제가 작성한 사이트에서 일부 내용 가져왔습니다.

질문자님에게 도움될 이어지는 내용은 아래에 남겨놓겠습니다.

[관련 정보 보러가기]: https://m.site.naver.com/1Qf3W

질문자님의 마음이 조금이라도 편해지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