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수학 모의고사 현재 고1이고 6모 9모에서 모두 수학이 5등급이 나왔습니다..대체 수학 모의고사

현재 고1이고 6모 9모에서 모두 수학이 5등급이 나왔습니다..대체 수학 모의고사 공부를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어요.당장 이틀뒤 10모인데 여기서 올리긴 무리같고..수학 모고를 적어도 안정 3까지 올리고싶어요ㅠㅠㅠㅠ내신치고나면 모고칠 때 내신에 들어갔던 범위 내용도다 까먹아버립니다. 어떻게 공부하고 뭐부터 해야 3이 될까요?내신은 1나오는데 모고가 5입니다.. 내신 문제가 엄청 쉬운것도 아니에요. 모의고사 3점 4점 문제 가져와서 나오고 하는데도.. 정작 찐 모고 치면 5뜹니다ㅠ

너무 공감돼요.

내신은 1등급인데 모의고사가 5등급이면, 실력이 부족하다기보다 ‘시험 성격’과 ‘사고 흐름’에 적응이 안 된 상태일 가능성이 높아요.

즉, 수학을 ‘알고는 있는데’, 모의고사식 사고 훈련이 덜 되어 있는 상태예요.

지금 10모는 이틀 남았으니까, 단기 대처 + 중장기 교정 방향을 나눠서 볼게요.

[1단계] 이틀 남은 단기 대처법 (10모 대비)

지금은 개념 새로 잡을 시간 X

패턴과 사고흐름을 빠르게 익히는 게 핵심

✅ 1. 최근 모의고사 오답노트 복습

6월, 9월 모고 중 틀린 문제 전부 다시 풀기

단, ‘계산 실수’도 “왜 실수했는지” 원인 분석하기

시간 압박 때문인지, 조건을 빠뜨린 건지, 실수 습관인지.

틀린 이유를 3종류로 분류하세요.

개념 모름

접근법 몰라서 막힘

시간 부족/실수

→ 가장 많은 유형이 ‘2’라면, 사고 흐름이 아직 모의고사식으로 안 잡힌 거예요.

✅ 2. 2130번은 건드리지 말고 120번을 완벽히

1~20번(객관식)에서 92% 맞히는 게 3등급 기준이에요.

특히 함수, 수열, 경우의 수, 확률, 미적분 기초 단원에서 실수 많이 나와요.

→ 개념보다 “조건 읽기” 훈련을 하세요.

예: “모든 실수 x에 대해” / “x>0일 때” / “k가 실수일 때”

이런 조건을 밑줄 쳐가며 읽는 연습.

✅ 3. 하루 1회 실전 모의 연습

실제 시간(100분)에 맞춰 최근 3개년 10월 모고 중 하나 풀기

→ 시간 감각 + 집중 유지력 훈련

채점 후, 1시간 동안 “왜 틀렸는지 말로 설명하기”

“이 문제는 ㄱ의 개념을 떠올려야 했는데, 난 ㄴ으로 착각했다”

이렇게 말로 정리하면 뇌가 사고 흐름을 다시 구성합니다.

[2단계] 10모 이후 — 3등급 안정화를 위한 장기 전략

1. 내신식 공부 vs 모의고사식 공부의 차이 인식

구분내신모의고사출제 의도암기/유형 반복사고력·추론형문제 접근배운 공식 적용상황 해석 후 전략 수립시간 제한여유 있음압박 있음

→ 지금은 내신 스타일로는 잘하지만, ‘모의고사 언어’를 해석하는 힘이 약한 상태예요.

2. 모의고사 사고 흐름 훈련법

EBS 연계교재나 최근 기출을 풀 때, 반드시 다음 순서로:

문제를 30초 읽으며 “이건 어떤 개념 문제인가?” 예측

바로 풀지 말고 접근 로드맵 적기

(예: “그래프 교점 → 방정식 세우기 → 판별식 이용”)

풀고 난 뒤 실제 풀이랑 비교

→ “내 접근이 문제의 논리와 얼마나 맞았는가?” 평가

이 과정을 매일 2~3문제라도 하면, 사고력 자체가 달라집니다.

3. 복습 루틴

주 1회, 50문제 오답 모아 재풀이

단순히 답 맞추는 게 아니라,

“왜 이런 사고 흐름이 정답으로 이어졌는지”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4. 추천 루틴 예시

요일내용월~금1시간 개념 복습 + 3점 문제 10개토실전 모의고사 1회 + 분석일오답노트 복습 + 사고 흐름 말로 설명

현실적인 조언

**모의고사 3등급은 ‘감각의 영역’**이에요.

개념만으론 절대 안 됩니다.

문제를 풀 때마다 “왜 이 생각을 떠올렸지?”를 묻는 습관이 중요해요.

내신 잘 나오는 건 ‘기초가 탄탄하다’는 뜻이니까,

시험 감각만 기르면 3등급은 충분히 현실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