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전기분야 취업입니다. 고졸이고 20대입니다.현재 생각중인건 내년에 전기산업기사를 취득하고 한전이나 타 공기업 고졸채용때

고졸이고 20대입니다.현재 생각중인건 내년에 전기산업기사를 취득하고 한전이나 타 공기업 고졸채용때 지원을 하는것이 첫번째이고두번째는 기능사(전기, 전산응용기계제도) 두개 취득 후 설계직마지막 세번째는 자격증 취득후에 시설관리직 고민중입니다사람마다 맞는게 다르겠지만 그래도 가장 괜찮은게 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추가로 다른직종 추천해주실게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단기간 짧게할게 아니라 배우면서 오래일하고 후에 전망도 좋은직종이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고민이에요

지금 나이와 상황(고졸 20대, 배우면서 오래 일하고 싶음, 기술직志向)을 보면

이미 “방향성”이 아주 훌륭합니다.

이 세 가지 옵션 모두 실무 기반이라 미래성이 있지만,

‘단기 취업 + 장기 성장성 + 안정성’ 관점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① 전기산업기사 → 한전·공기업 루트

안정성 ★★★★★

성장성 ★★★★☆

진입난이도 ★★★★☆

장점

전기산업기사는 고졸이 응시 가능한 전문기술 자격 중 최상위급

한국전력, 발전소, 시설관리 공기업, 군무원 등 다수 공공기관 지원 가능

전기안전공사·지자체·공무직 등으로 진출 폭이 넓음

이후 전기기사로 업그레이드 + 전기공사기사 병행 시 연봉 상승

단점

전기이론이 어렵고 초반 진입장벽 있음

공기업 채용은 경쟁률 높고, NCS 공부 병행 필요

현실적 조언

“기술 + 안정” 둘 다 잡고 싶다면 이 루트가 최고입니다.

1~2년 투자해도 평생 써먹을 수 있는 자격이에요.

특히 전기안전관리자, 한전 협력업체, 시설직 공무원 등으로 길이 열립니다.

출처 입력

② 기능사 2개 (전기 + 전산응용기계제도) → 설계직 루트

안정성 ★★★☆☆

성장성 ★★★★☆

진입난이도 ★★☆☆☆

장점

전기 + 기계 CAD 이중 기술로 전기·기계·설비 도면설계 가능

중소기업, 엔지니어링 업체, CAD 전문회사 취업 용이

“3D 설계 + 전기배선 도면” 능력 있으면 향후 전장설계, PLC 자동화로 확장 가능

단점

초봉은 낮은 편 (실무기술 숙련 전까지 2500~2800만 원대 시작)

회사 규모에 따라 기술보다 단순 작업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음

현실적 조언

설계에 흥미 있고 손으로 ‘그리는 일’을 좋아한다면 괜찮은 길입니다.

하지만 ‘기계제도기능사 + AutoCAD / SolidWorks + 전기기능사’ 세트로 묶어서

최소 6개월~1년 꾸준히 연습해야 실무로 쓸 수 있습니다.

③ 전기 or 산업기사 → 시설관리 루트

안정성 ★★★★☆

성장성 ★★★☆☆

진입난이도 ★★☆☆☆

장점

병원, 빌딩, 아파트, 공장 등 상시 채용 많음

전기기능사 이상이면 바로 취업 가능, 전기산업기사면 대우 더 좋음

근무환경 안정, 교대근무 체계적, 경력 쌓기 용이

나이 들어서도 일 가능 (40~60대 많음)

단점

근무시간이 일정치 않을 수 있음 (야간·당직 포함)

기술 발전보다는 루틴업무 중심

현실적 조언

기술의 깊이를 쌓기보단, “기술+안정적 근무”를 원하면 최적의 선택입니다.

단, 향후 “전기안전관리자”로 승급하려면 산업기사 → 기사까지 가는 게 유리합니다.

비교 요약

구분

핵심 포인트

장점

단점

추천대상

① 전기산업기사 → 공기업

자격+공공기관

안정·복지

공부량 많음

장기 커리어志

② 기능사 2개 → 설계직

기술+도면능력

현장·CAD 기술

초봉 낮음

손으로 배우는 스타일

③ 산업기사 → 시설관리

실무+안정

정년길다

성장제한

안정志, 루틴형

추가 추천 직종 (20대 고졸 기술루트 중 장기전망 좋은 TOP3)

분야

자격

비전

전기·전력기술자

전기산업기사 → 전기기사

필수인프라 업종, 평생직

⚙️ PLC 자동제어 / 스마트팩토리 기술자

전기+기계 복합(전산응용기계제도, 전기기능사)

자동화·로봇산업 핵심

태양광·ESS·신재생에너지 기술자

전기기사+태양광설비

정부지원·에너지전환산업 중심

정리하면

우선순위

루트

이유

① 전기산업기사 루트

전기+공공기관 루트는 확실한 커리어패스 (공무원·공기업·협력사 등)

③ 시설관리 루트

안정형, 전기인력 수요 꾸준

② 설계 루트

흥미 중심, 실무기술형 (CAD/PLC로 확장 시 가치↑)

박실장의 한 줄 조언

"단기 합격보다, 방향이 중요합니다."

전기를 기반으로 가면 10년 뒤에도 일자리가 사라지지 않습니다.

전기산업기사 → 실무 → 전기기사 → 안전관리자 or 공무직

이 루트가 기술인으로서 가장 안정적이고 탄탄한 코스예요.

전기의지식! 자격증정보! '전기의정석'

[전기의 정석] 네이버 카페로 초대합니다.

https://naver.me/5ZSIHFE2

From 전기의정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