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토요타 기간공 근무해 보신분 계시나요? 나고야로 워킹홀리데이를 갈 예정인데 토요타 기간공이라는 일자리가 끌리더라고요. 월급이나 수당

나고야로 워킹홀리데이를 갈 예정인데 토요타 기간공이라는 일자리가 끌리더라고요. 월급이나 수당 같은 것에 대해 구인 사이트에 꽤나 자세히 나와있는데혹시 워킹홀리데이 비자로 입사한 외국인을 거주자로 처리해주는지 비거주자로 처리해주는지 좀 궁금합니다.토요타 직접고용 형태랑 파견회사 경유 형태랑 처리 방식이 다른지 그런 것도 궁금합니다.비거주자로 처리하면 세율이 35퍼라던데 어마무시하네요;;

워킹홀리데이 비자로 입사한 외국인에 대한 거주자 또는 비거주자 처리 여부는 한국 세법과 체류 목적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워킹홀리데이 비자는 체류 기간이 정해져 있으며, 체류 기간 동안 한국 내 거주 상태를 유지하는지 여부에 따라 다르게 처리됩니다.

1. 거주자 또는 비거주자 여부:

- 일반적으로 워킹홀리데이 비자로 한국에 체류하는 기간이 183일 이상인 경우, 세법상 거주자로 간주됩니다.

- 만약 체류 기간이 183일 미만이면 비거주자로 처리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다만, 세법상 거주자 여부는 단순 체류일수 외에도 근무 형태, 주소 등록 여부 등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합니다.

2. 토요타 직접고용과 파견회사 경유 형태의 차이:

- 토요타 직접고용의 경우, 외국인은 토요타 회사의 직원으로서 직접적인 고용계약서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근무 장소와 근무 조건이 회사 내부에서 정해집니다. 이 경우 근무지와 체류 조건 관련하여 더 명확하게 거주자 또는 비거주자로 처리될 가능성이 큽니다.

- 파견회사(중간업체)를 통한 경우, 외국인은 파견회사를 통해 근무하게 되며, 이 경우 파견회사와의 계약 조건, 근무지 등록, 체류 신고 등 여러 절차가 다를 수 있는데, 이를 바탕으로 거주자 여부가 판단됩니다.

- 일반적으로, 어느 경우든 체류 기간과 등록 상태, 근무 형태에 따라 한국 세무 당국은 거주자 또는 비거주자로 처리하며, 이는 법적 판단 기준에 따릅니다.

3. 세무 관련 참고사항:

- 만약 해외에 거주하면서 한국 내 근무하는 기간이 183일 이상이면, 한국 내 세무상 거주자로 등록돼 소득세 신고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한국 내 체류 기간이 183일 미만이라면, 주로 비거주자로 간주되어 소득세 신고 대상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체류 기간 동안 주소 등록, 보험 가입, 재류 신고 여부도 중요한 판단 기준입니다.

결론적으로, 워킹홀리데이 비자로 입사했을 때 거주자 또는 비거주자 처리는 체류 기간, 체류 등록, 근무 형태에 따라 달라지며, 토요타 직접고용인지 파견회사 경유인지에 따른 처리 차이보다는 이러한 요소들이 더 중요한 판단 기준입니다.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관련 세무서 또는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 드립니다^^ 추가 질문은 채택 해주시면 답변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