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고민이에요. 현재 시기에 한번쯤은 일탈을 하고 싶은 청소년 시기 입니다.
목표가 확고하다 해도 남자의 경우 목숨 걸고 해도 한국에서 성공하는 것은 그렇게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조언을 드리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지금 단계에서 “내가 정말 뭘 좋아하나, 어디까지 가고 싶은가”를 스스로 인식하고 있다는 건 이미 방향성을 잡을 준비가 된 상태입니다.
먼저 결론부터 말하자면
얼굴이 안 돼서 댄스를 못하는 건 절대 아닙니다.
댄스 쪽에는 ‘아이돌’ 외에도 갈 수 있는 길이 엄청 많아요.
즉, “댄스로 먹고 사는 길”은 아이돌이 전부가 아닙니다.
1️⃣ 댄스 진로의 큰 세 가지 방향
방향 | 설명 | 예시 |
공연/무대형 댄서 | 무대 뒤에서 아티스트, 가수, 아이돌의 백업댄서, 콘서트 무용수로 활동 | EXO, BTS, aespa 백댄서, 시상식 무용단 |
안무가/디렉터형 | 무대 구성·안무 창작 중심, 아이돌 안무팀 소속 | Lia Kim, Kasper, May J Lee |
교육/전문가형 | 학원 강사, 예고/예대 진학, 평생교육 댄스 강사 | 예고 실용무용과, 예대 실용무용 전공, 댄스 아카데미 강사 |
2️⃣ 지금부터 구체적으로 할 수 있는 단계
댄스 방향 정하기
K-POP 커버, 스트릿(힙합, 왁킹, 걸스힙합), 현대무용 등 중
→ 본인이 제일 몰입되는 장르를 선택해요.
(지금 여러 장르를 다 해보는 게 좋아요.)
전문 댄스 학원 or 실용무용 입시반
아이돌 학원 말고 “실용무용 전문” 학원 추천
→ 커버보다 기초기술 + 표현력 중심으로 훈련시킵니다.
SNS 포트폴리오 만들기
인스타그램, 틱톡에 본인 춤 영상 업로드
잘 추는 사람보다 “자신의 스타일이 뚜렷한 사람”이 더 주목받습니다.
카메라 연습도 자연스럽게 됩니다.
예술고 / 예대 진학 or 프리랜서 루트
예술고 실용무용과 → 예대 실용무용과 → 안무가/강사 루트
or, 프리랜서 댄서 → 방송댄서 / 댄스팀 소속 루트
3️⃣ “아이돌은 못 될 것 같아요”에 대한 냉정한 정리
아이돌은 외모가 아닌 ‘연출된 이미지’의 결과물이에요.
좋은 무대 태도, 눈빛, 표현력으로 시선을 끄는 사람은 ‘얼굴’보다 강합니다.
예를 들어 NewJeans, LE SSERAFIM, BTS의 멤버들도
“댄서 출신”으로 시작한 사람이 많아요.
(정국, 제이홉, 채원 등은 무용 기반 출신)
4️⃣ 현실적 제안
지금 아이돌을 목표로 하기보다 “댄서 실력”을 키우세요.
1~2년 안에 실력이 붙으면,
오디션에서도 “댄서 출신 지원자”는 확실히 눈에 띕니다.
즉, “댄서로 시작해서 아티스트로 확장”은 현실적으로 가능한 길이에요. 긍적적으로 봤을때 그렇습니다.
하지만 남자의 경우, 인생을 심각하게 생각해야 합니다. 우리나라의 댄스, 무용 하는 사람들 99%가
밥먹고 살기 힘듭니다. 그만큼 한국은 문화 예술하기 힘든 나라입니다. 취미로 하세요.
남성이 댄스를 진로로 삼을 때 고려해야 할 현실적 요인
1️⃣ 군복무 변수
남성의 경우 군대는 커리어 단절의 가장 큰 리스크입니다.
20대 초~중반은 무용수나 댄서로 기초기술과 인맥을 다져야 하는 시기인데,
군복무로 인해 2년 가까운 공백이 생기면 체력·유연성·네트워크가 끊깁니다.
복귀 후에는 후배 세대가 이미 시장을 차지한 상태이기 때문에 재진입이 쉽지 않습니다.
실제로 많은 남성 댄서들이 군복무 이후 커리어를 유지하지 못하고 다른 직종으로 이탈합니다.
2️⃣ 한국에서의 댄스 산업 구조적 한계
한국의 댄스 시장은 아이돌·방송·학원 중심으로 매우 좁습니다.
즉, 상위 2% 이내 안무가나 유명 댄서가 아니면 경제적 안정이 어렵습니다.
실력만으로 먹고살 수 있는 댄서는 극히 소수이며,
대부분은 학원 강사·학원 운영·유튜브 크리에이터 등으로 부업을 병행해야 합니다.
“좋아하는 일을 하며 산다”는 이상은 아름답지만,
현실적으로는 경제적 생존이 불안정합니다.
3️⃣ 직업 안정성 비교
구분 | 댄서/안무가 | 공무원·직장인 |
소득 안정성 | 일정치 않음. 프로젝트·출강 수당 의존 | 고정 월급, 복리후생 보장 |
경력 발전 | 개인 브랜딩·SNS 영향력 필요 | 승진 구조 명확 |
사회 인식 | 예술직 중 하위 안정직 | 사회적으로 안정적 |
퇴직·노후 보장 | 없음 (개인 준비 필요) | 국민연금, 퇴직연금 등 보장 |
4️⃣ 이성적 대안
1단계: 공무원, 공기업, 일반 직장 등 안정적 직업으로 기반 마련
2단계: 여유 자금과 시간으로 주말/저녁에 댄스 지속
3단계: 이후 강사, 안무가, 유튜브, 아마추어 대회 등으로 활동 확대
이 방식은 경제적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 예술적 열정도 유지할 수 있는 현실적 모델입니다.
결론
댄스는 예술이고, 예술은 “삶의 중심”이 되기보다 “삶을 풍요롭게 하는 도구”로 접근하는 것이 더 합리적입니다.
남성의 경우 군복무, 생계, 사회적 책임을 고려하면
댄스를 직업의 중심으로 삼는 것은 불안정한 선택이며,
안정된 기반 위에서 병행하는 전략적 접근이 최선입니다.
건강을 위해서 취미로 하세요.
인생은 길고, 예술은 순간입니다. 영원한 것은 없습니다.
인간은 욕심으로 인해서 흥하고 욕심으로 인해서 망합니다.
평범하게 결혼하고 아이낳고 국가에 충성하면서 살아 가기를 권장합니다.
사교댄스, 줌바, 방송,스트릿, KPOP, 댄스,무용 ALL 1급 자격증, 생활체육,엔터테인먼트,재즈,실용,바차타,스윙,라인,줌바,스포츠,밸리,스트릿,비보이,훌라,민속,줌바댄스,탭댄스,요가,필라테스,댄스스포츠,음악,문인,생활,웰빙,실용,실버,PT,GX,요가,훌라,체조,모델,어린이,뮤지컬,영어댄스,밸리,비보이,스트릿,힙합,연기,영화,악기,스포츠,모델,공연예술,대중문화etc
https://www.youtube.com/watch?v=FG59REy_5PE
■댄스자격증
■무용자격증
■생활체육지도사
■댄스스포츠지도사
■엔터테인먼트지도사
■관광지도사
■K방역중개사
■줌바댄스지도사
■스트릿댄스,힙합,비보이지도사
■케이팝댄스,방송댄스자격증
■밸리댄스지도사
■사교댄스지도사
■K특정물중개사
■요가,필라테스,PT,스포츠
■뮤지컬,음악,악기,연기
■대중문화예술기획업 etc 외 국가등록자격증
한국공연예술총연합회
KOREA: SCM엔터테인먼트 | 음반기획 | 아이돌 | 걸그룹 | 대한민국 | SCMENT | SCM Official channel http://scment.com ARTIST MUSIC ENTERTAINENT GLOBAL AUDITION 음악콘텐츠, 멀티미디어, 음반기획, ARTIST, 영화음악, OST, 오디션, 연예기획사, 아이돌, 걸그룹, 댄스, 랩 #scmentertainment #scmcrew #scment #scm #SCMAB #AB #SCM #korea #news #shorts #news Welcome to S...
www.youtube.com